야구 포지션 에 관하여

야구 포지션 알아봅시다
야구 포지션 – 야구는 각 팀당 9명씩 이루어진 두 팀이 9회에 걸쳐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하며 경기를 하는 스포츠입니다.
지명타자가 있는 경우에는 10명의 선수들이 경기를 하게 되는데 이때는 10개의 포지션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야구 포지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야구 포지션에 관하여 이야기해드리겠습니다.
야구 포지션
야구 선수 구성
야구는 지명타자를 포함해 10명의 선수가 경기에 참여하는데, 한번 교체된 선수는 그 경기에서는 다시 뛸 수 없습니다.
또, 대게 선수 명단은 25명으로 고정되어 있는 리그가 많은데 MLB에서 로스터는 25명이고 KBO에서는 28명의 선수가 등록됩니다.
로스터 인원은 리그나 대회마다 조금씩 다르며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은 24명이, WBC와 프리미어 리그는 28명입니다.

자료출처-뉴데일리경제
수비 포지션
야구 수비 포지션에는 배터리,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대수비, 센터라인, 키스톤 콤비, 유틸리티 플레이어 등이 있는데 각 포지션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배터리: 투수와 포수를 묶어서 배터리 라고 하는데, 포수 코치를 배터리 코치로 부르며 줄여서 배코라 부르기도 합니다.
- 투수: 내야 중앙 마운드에서 상대편 타자가 칠 공을 포수에게 던지는 포지션으로 약자로 P로 나타냅니다. 또 포지션 넘버는 1번으로 합니다. 크게 선발투수, 중간계투, 마무리 투수로 나뉘는데 선발투수는 투수 중에서 경기의 맨 처음 등판하는 투수, 중간계투는 선발 투수와 마무리 투수 사이 중간 이닝에 던지는 투수, 마무리 투수는 경기 종료가 얼마 남지 않았고 점수 차가 얼마 나지 않을 때, 경기를 확실하게 끝내기 위해 마지막 이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투수도 보통 중간계투 중 가장 강력한 투수가 맡게됩니다.
- 포수: 홈을 지키며 투수가 던지는 공을 받는 선수를 포수라 하며, 약자로 C로 표현 합니다. 포지션 넘버는 2번으로 수비 시에 유일하게 다른 곳을 바라보는 포지션 이기도 합니다.
- 내야수: 내야수는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 등 네 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경기 중 필드 안쪽(내야 지역)을 수비하는 선수를 내야수라 하는데 1루수와 3루수를 묶어 코너 인필더라 부르고, 2루수와 유격수를 묶어 키스톤이나 키스톤 콤비라 부르기도 합니다. 보통 실제경기에서는 1루수를 퍼스트, 2루수를 세컨, 3루수를 서드, 유격수를 숏 혹은 숏스톱이라 부릅니다.
- 외야수: 필드의 외각에서 수비를 하는 수비수로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로 나뉘어 집니다.
- 대수비 : 수비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전 야수와 교체되어 투입되는 선수 입니다. 대수비 선수들은 주로 경기 후반 승패가 한쪽으로 기울어졌을 때 주전 선수들의 휴식을 위해 대수비로 투입되거나 수비 강화 목적으로 수비가 약한 선수와 교체 되어 투입 됩니다.
- 센터라인: 중앙에서 수비하는 포수, 유격수, 2루수, 중견수를 묶어서 부르는 용어 입니다.

자료출처-브런치
공격 포지션
공격 포지션에는 타자와 주자가 있습니다.
이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타자: 공격시 배트를 가지고 타석에서 공을 치는 선수로 지명타자, 대타, 테이블 세터, 클린업 트리오, 하위 타선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그중 대타는 원래 타순의 타자 대신 선수를 교체해 타석에 들어서게 되는 타자 입니다. 클린업 트리오는 타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자로 3번, 4번, 5번 타자를 클린업 트리오라 합니다. 이들 뒤에 오는 6번, 7번, 8번, 9번 타자를 하위 타선이라 부르는데 공격력이 높은 선수를 많은 타격 기회를 가지게 하기 위해 앞순위로 먼저 타선을 배정하기 때문에, 타격 능력이 조금 떨어지는 선수들을 하위 타선에 배정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자: 타석에 서있는 사람을 주자라 합니다.

자료출처-중앙일보
초기 야구 포지션과 포지션별 난이도
초기 야구에는 유격수가 없었습니다.
지금의 1루수, 2루수, 3루수와 외야수, 그리고 그 사이에서 중계플레이를 해주는 야수가 존재했는데 이 제4의 내야수 혹은 제4의 외야수가 지금의 유격수 위치로 이동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포지션별 난이도를 살펴보면 프로레벨에서는 포수 – 유격수 – 2루수 – 3루수 – 우익수 – 좌익수 – 1루수 순으로 수비 부담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앞쪽의 포수/유격수/2루수의 경우에는 수비력이 뛰어난 선수를 우선적으로 배치하고,반대로 수비 부담이 덜한 1루수/좌익수/우익수는 수비가 떨어지더라도 공격이 뛰어난 선수들을 배치하게 됩니다.
1루수와 코너 외야수는 수비력보다 공격력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는 포지션입니다.

.
자료출처-연합뉴스
포지션별 약자 표기
각 포지션은 각각의 고유 번호와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투수는 영어로 ptcher라 하며 약자로는 P로 표현합니다.
포수는 catcher로 약자로는 C이고, 1루수는 First baseman 1B, 2루수는 Second baseman 2B, 3루수는 Third baseman 3B, 유격수는 Shortstop SS 로 각각 표기 합니다.
그외에 좌익수는 Left Fielder 약자로 LF, 중견수는 Center Fielder CF, 우익수는 Right Fielder RF 로 나타냅니다.

자료출처-국민일보
이렇게 야구 포지션에 대해 각 포지션의 의미와 약자 표기 방법 등을 알아보았는데 재미있는 시간 되셨나요?
야구 경기를 보면서 선수별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잘 알지 못하는 분들도 많았을 것인데 이 기회를 통해 야구 포지션에 대해 좀 더 알아가는 시간 되셨길 바랍니다!